목록전체 글 (307)
코딩하는 해맑은 거북이
해당 글은 array를 list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np.array(리스트) list를 array로 변환시키는 방법으로 np.array를 사용하였다. list1 = [[0, 1, 2, 3, 4], [5, 6, 7, 8, 9]] array1 = np.array(list1) print(array1) [[0 1 2 3 4] [5 6 7 8 9]] ndarray.tolist() 반대로 array를 list로 변환시키는 방법으로 tolist() 함수를 이용한다. array2 = np.arange(10).reshape(2,5) list2 = array2.tolist() print(list2) [[0 1 2 3 4] [5 6 7 8 9]]

본 게시물의 내용은 'RNN 첫걸음(부스트캠프 AI Tech)' 강의를 듣고 작성하였다. 시퀀스 데이터 이해하기 시퀀스 데이터 : 순차적으로 들어오는 데이터 소리, 문자열, 주가 등의 데이터를 시퀀스(sequence) 데이터로 분류한다. 시계열(time-series)데이터는 시간 순서에 따라 나열된 데이터로 시퀀스 데이터에 속한다. 시퀀스 데이터는 독립동등분포(i.i.d.; independently and identically distributed) 가정을 잘 위배하기 때문에 순서를 바꾸거나 과거 정보에 손실이 발생하면 데이터의 확률분포도 바뀌게 된다. 개가 사람을 물었다. 사람이 개를 물었다. 2개의 문장이 있을 때, 첫번째 문장은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일이다. 두 번째은 문법적으로 맞지만, 위치를 바..

본 게시물의 내용은 'CNN 첫걸음(부스트캠프 AI Tech)' 강의를 듣고 작성하였다. Convolution 연산 이해하기 지금까지 배웠던 다층신경망(MLP)은 각 뉴런들이 선형모델과 활성함수로 모두 연결된 (fullyconnected)구조이다. 각 성분 \(ℎ_i\) 에 대응하는 가중치 행 \(W_i\) 이 필요하고, 만일 i 가 바뀌면 사용되는 가중치도 바뀐다. 가중치 행렬의 크기와 학습시켜야 하는 파라미터 갯수가 커지게 된다. 그러나, convolution 연산은 커널(kernel)이라는 고정된 가중치 행렬을 사용하고 고정된 커널을 입력벡터 상에서 움직여가면서 선형모델과 합성함수가 적용되는 구조이다. 중요한 특징은 입력벡터 x를 모두 다 활용하는 것이 아닌 커널 사이즈 k 만큼 추출하고 움직여가면..

본 게시물의 내용은 '베이즈 통계학 맛보기(부스트캠프 AI Tech)' 강의를 듣고 작성하였다. 조건부 확률이란? 조건부확률 P(A|B)는 사건 B가 일어난 상황에서 사건 A가 발생할 확률을 의미한다. 베이즈정리는 조건부확률을 이용하여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A 라는 새로운 정보가 주어졌을 때 P(B)로부터 P(B|A)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베이즈 정리 : 예제 COVID-99의 발병률이 10%로 알려져있다. COVID-99에 실제로 걸렸을 때 검진될 확률은 99%, 실제로 걸리지 않았을 때 오검진될 확률이 1%라고 할 때, 어떤사람이 질병에 걸렸다고 검진결과가 나왔을 때 정말로 COVID-99에 감염되었을 확률은? ※ θ를 COVID-99 발병사건으로 정의(관찰불가)하고, D를 테스트..
해당 글은 백준 1260번 문제 'DFS와 BFS'을 다룬다.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260 1260번: DFS와 BFS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1 ≤ N ≤ 1,000), 간선의 개수 M(1 ≤ M ≤ 10,000), 탐색을 시작할 정점의 번호 V가 주어진다. 다음 M개의 줄에는 간선이 연결하는 두 정점의 번호가 주어진다. 어떤 두 정점 사 www.acmicpc.net 설명 단순히 입력된 graph에 맞게 DFS와 BFS 를 수행한 결과를 출력하는 문제이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입력에 맞게 graph에 각 노드가 연결된 정보를 넣은 다음에 정렬을 해줘야 출력 결과가 일치한다. 코드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m, v = map..
해당 글은 백준 1120번 문제 '문자열'을 다룬다.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120 1120번: 문자열 길이가 N으로 같은 문자열 X와 Y가 있을 때, 두 문자열 X와 Y의 차이는 X[i] ≠ Y[i]인 i의 개수이다. 예를 들어, X=”jimin”, Y=”minji”이면, 둘의 차이는 4이다. 두 문자열 A와 B가 주어진다. 이때, A의 www.acmicpc.net 설명 해당 문제는 문자열 A를 문자열 B에 이동하면서 비교해서나온 가장 최솟값이 결과이다. 왜냐하면, 앞뒤에 넣는 추가할 값은 문자열 B의 위치의 값과 동일하게 넣으면 되기 때문이다. 코드 a, b = input().split() result = 50 for i in range(len(b)-le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