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Python (48)
코딩하는 해맑은 거북이
해당 글은 비트 연산자 5가지를 다룬다. 1. AND(&) 2. OR(|) 3. XOR(^) 4. NOT(~) 5. SHIFT() 0. 2진수 변환 → bin(정수) 파이썬에서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할 때는 bin 함수를 사용한다. print(0b1100) print(bin(12)) 12 0b1100 1. AND(&) 비트 단위로 AND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자는 & 이다. AND 연산은 두 비트가 모두 1일 때 결과는 1, 그 외에는 0이 된다. A B A & B 0 0 0 0 1 0 1 0 0 1 1 1 print(0b1100 & 0b1010, bin(0b1100 & 0b1010)) 8 0b1000 2. OR(|) 비트 단위로 OR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자는 | 이다. OR 연산은 두 비트 중 하나만 ..

해당 글은 특정 데이터 타입의 열만 가져올 수 있는 select_dtypes 함수를 소개한다. 📌 DataFrame.select_dtypes(include=None, exclude=None) pandas.DataFrame.select_dtypes — pandas 2.1.4 documentation To select Pandas datetimetz dtypes, use 'datetimetz' or 'datetime64[ns, tz]' pandas.pydata.org *예시 데이터 import pandas as pd df = pd.DataFrame({ 'col1': [1, 2, 3], 'col2': ['a', 'b', 'c'], 'col3': [1.1, 2.2, 3.3] }) df.info() 📌 DataF..
해당 글은 아래의 2가지를 다룬다. 📌 all 함수 📌 any 함수 📌 all 함수 iterable한 객체의 모든 요소가 참(True)인지 확인하는 함수 만약, 모든 요소가 참(True)라면 True를 반환하고, 아니라면 False를 반환한다. list_A = [True, True, True] result_A = all(list_A) print(result_A) list_B = [True, True, False] result_B = all(list_B) print(result_B) list_C = [False, False, False] result_C = all(list_C) print(result_C) True False False 응용을 해보자면, 어떤 리스트에 특정 리스트에 포함된 값들이 모두 포함..

Pandas 를 공부할 때 혹은 다시 복습할 때, 좋은 자료가 있어 블로그에 남겨둔다. - Pandas 치트 시트 https://pandas.pydata.org/Pandas_Cheat_Sheet.pdf - 10분 안에 Pandas 공부하기 https://pandas.pydata.org/pandas-docs/stable/user_guide/10min.html 10 minutes to pandas — pandas 2.1.1 documentation 10 minutes to pandas This is a short introduction to pandas, geared mainly for new users. You can see more complex recipes in the Cookbook. Customa..
해당 글은 아래의 3가지를 다룬다. 📌 List 📌 collections.deque 📌 Dict 📌 List - 파이썬의 정렬 함수는 병합 정렬과 삽입 정렬의 아이디어를 더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정렬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다. 병합 정렬은 퀵 정렬보다 느리지만, 최악의 경우에도 O(nlogn)의 시간 복잡도를 보장한다는 특징이 있다. - List는 크기가 커질수록, 삽입과 삭제 연산이 비효율적으로 된다. 그럴 경우에는 deque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cf) 코딩테스트 시 문제에 별도의 요구가 없다면, 기본 정렬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데이터의 범위가 한정되어 있고 더 빠르게 동작해야 할 때는 계수 정렬을 사용해야 한다. Operation 평균 (Average) 최악 (Worst) copy O(n) O(..
해당 글은 아래의 2가지를 다룬다. 📌 시간 복잡도 📌 공간 복잡도 📌 시간 복잡도 - 입력의 크기에 대해 알고리즘이 얼마나 오래 걸리는지를 의미한다. - 시간 복잡도를 표현할 때는 Big-O(빅오) 표기법을 사용한다. - 빅오 표기법에서는 상수와 작은 차수의 항을 제거하고, 차수가 가장 큰 항만 표기한다. - 시간 복잡도 표 빅오 표기법 명칭 O(1) 상수 시간(Constant Time) O(logN) 로그 시간(Logarithmic Time) O(N) 선형 시간(Linear Time) O(NlogN) 선형 로그 시간(Log-linear Time)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