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307)
코딩하는 해맑은 거북이

본 게시물의 내용은 '부스트캠프 AI Tech - Object Det(송원호)' 강의를 듣고 작성하였다. 해당 글은 아래의 2가지를 다룬다. 📌 Neck 🔷 Neck 의 배경 🔷 Neck 이 필요한 이유 🔷 Feature Pyramid Network (FPN) 🔷 Path Aggregation Network (PANet) 📌 After FPN 🔷 DetectoRS 🔷 Bi-directional Feature Pyramid (BiFPN) 🔷 NASFPN 🔷 AugFPN 📌 Neck 🔷 Neck 의 배경 Detection의 2 Stage detector의 경우에 Backbone의 마지막 출력인 feature map만을 이용해서 RPN과 Prediction을 수행했다. 여기서 Backbone의 중간의 feat..
해당 글은 백준 1010번 문제 '다리 놓기'을 다룬다.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010 1010번: 다리 놓기 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그 다음 줄부터 각각의 테스트케이스에 대해 강의 서쪽과 동쪽에 있는 사이트의 개수 정수 N, M (0 < N ≤ M < 30)이 주어진다. www.acmicpc.net 설명 해당 문제는 조합을 이용해서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이다. L

본 게시물의 내용은 '부스트캠프 AI Tech - Object Det(송원호)' 강의를 듣고 작성하였다. 해당 글은 Object Detection - 2 Stage Detectors인 아래의 4가지를 다룬다. 📌 R-CNN 📌 SPPNet 📌 Fast R-CNN 📌 Faster R-CNN 앞서 해당 블로그에서 기존에 Object Detection의 Matrix를 정리한 내용이 있어 링크를 첨부한다. 📌 R-CNN 🔷 Extract Region Proposals - Sliding Window 고정된 크기의 window를 이미지 상에서 슬라이딩 시키면서 모든 영역을 탐색하는 방법 (요즘은 잘 사용되지 않음) - Selective Search 최소 단위의 픽셀 별로 각 영역을 나눈 후, 비슷한 인접 영역들을 ..
강의 내용 - AI 서비스 개발 기초 어렵지않은 강의 구성으로 쉬어가는 한 주를 보낼 수 있어서 좋았다. 또한, 몰랐던 새로운 것들을 많이 알고간다. 그리고, 잊고 있었던 리눅스를 다시 배우며 상기시킬 수 있었다. 피어세션 주로 랩업리포트를 작성하고, Github를 팀 레포에 다시 정리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리고 ViT 논문 리뷰를 진행하고, 미션할 때 잘 안되는 부분에 대해 서로 질문하고 해결하였다. 한 주 회고 더보기 (+) : 잘했던것, 좋았던것, 계속할것 (-) : 잘못했던것, 아쉬운것, 부족한것 -> 개선방향 (!) : 도전할 것 (etc) : 기타 등등 (느낀점) (+) lv1과 lv2를 같이 진행하여서, 한 주 동안 논문을 2개를 읽었다. 힘들었지만 끝나고 나니 뿌듯한 느낌이 든다. 그리고 ..

📌 PGGAN (Progressive Growing GAN) : Nvidia에서 고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2018), 발표 당시 큰 이슈! cf) 현재 GAN분야의 SOTA를 달성하고 있는 StyleGAN 시리즈의 기반이 되었음. 📌 기존 GAN의 문제점 1) 고해상도 이미지 일수록 D는 G가 생성한 이미지가 가짜 이미지인지 아닌지 판별하기 쉬워진다. → Unhealthy Competition 2) 고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기 어렵다! - 더 깊은 신경망을 사용할 때, G와 D 사이의 기울기 문제가 증폭된다. - 메모리 제약으로 더 작은 minibatch를 사용해야하는데, 학습안정성이 떨어진다. → 불안정한 학습 📌 이를 개선하기 위해 PGGAN이 제안한 방법 * KEY POINT :..

본 게시물의 내용은 '부스트캠프 AI Tech - 리눅스 (변성윤)' 강의를 듣고 작성하였다. - 쉘 커맨드의 매뉴얼 문서 출력 man python # 종료 'q' - 폴더 생성하기 (Make Directory) mkdir linux-test - 현재 접근한 폴더의 파일 확인 (List Segments) -a : .으로 시작하는 파일, 폴더를 포함해서 전체 파일 출력 -l : 퍼미션, 소유자, 만든 날짜, 용량까지 출력 -h : 용량을 사람이 읽기 쉽도록 GB, MB 등 표현, '-l'과 같이 사용 ls ls ~ ls -al ls -lh - 현재 폴더 경로를 절대 경로로 보여줌 : Print Working Directory pwd - 폴더 변경하기, 폴더로 이동하기 : Change Directory cd..